취미/스탬프 투어

서울 스탬프투어 서울둘레길 5코스 아차산코스 첫번째! (깔딱고개쉼터 - 갈림길(헬기장) - 아차산 정상 - 해맞이광장 - 기원정사)

Key of heaven 2025. 6. 14. 15:14
728x90
반응형

어제 서울둘레길 4코스 끝냈는데 근처 지하철역까지 꽤 거리가 있고 만보를 못 채워서 5코스까지 진행해봤는데요.

(주절주절 썼지만 그냥 4.6km라서 만만해보였다고 칩시다.)

5코스 시작점 깔딱고개쉼터예요!

5코스는 시작부터 난관이네요..........ㅜㅜ

아 진짜 108배 하는 기분으로 올라갑니다ㅠㅠ

여기는 중간중간 전망지점이 진짜 많아요.

진짜 올라가는데.........나 이거 어디서 본 것 같아 이러면서 올라갔는데요........

https://hanato31.tistory.com/entry/%EA%B1%B7%EA%B8%B0%EC%97%AC%ED%96%89-%EA%B2%BD%EA%B8%B0%EC%98%9B%EA%B8%B8-%EC%8A%A4%ED%83%AC%ED%94%84%ED%88%AC%EC%96%B4-%EC%98%81%EB%82%A8%EA%B8%B8-4%EA%B8%B8-%EC%84%9D%EC%84%B1%EC%82%B0%EA%B8%B8-%EB%91%90%EB%B2%88%EC%A7%B8%EC%9A%A9%EC%9D%B8%EC%8B%9C%EB%B0%95%EB%AC%BC%EA%B4%80-%EC%84%9D%EC%84%B1%EC%82%B0-%EC%A0%95%EC%83%81-%EC%9A%A9%EC%9D%B8%EC%8B%9C%EC%B2%AD

 

[걷기여행] 경기옛길 스탬프투어 영남길 4길 석성산길 두번째!(용인시박물관 - 석성산 정상 - 용

어제 석성산 다녀왔어요...용인시박물관 바로 옆에 있는 산길로 올라가면 석성산이 바로 나오는 건 아니고 해놀공원이 먼저 나와요.이 근처에서 뭐가 많이 발견됐나 봐요.산길 아래쪽은 야자매

hanato31.tistory.com

경기옛길 영남길 석성산길과 비슷하니 포스팅 참고해보시면 좋을 것 같네요.

많이 걸어보니 비교하는 재미도 있네요.

여기서는 한강이 보이니 날이 밝을 때 와서 전망구경하면 좋을 것 같아요.

드디어 570계단 다 올라옴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수명 늘었대!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전광판 있지만 아무 글자도 나오지 않음.

계단 또 나오더라.........

헬기장 도착했어요!

사적455호 용마산 5보루(고구려)

사적455호 용마산ㆍ아차산 보루군은 고구려[용마산 1,2,4,5보루/망우산1보루/아차산1,2,3,4,5보루/시루봉보루, 홍련봉1,2보루]와 신라[용마산3,6,7보루] 유적으로 삼국(고구려ㆍ백제ㆍ신라)이 한강하류를 차지하기 위해 경쟁하던 전략 요충지입니다. 용마산 5보루는 둘레가 110m이며 소토층이나 석축의 흔적으로 실제는 현재의 2배로 추정하며 북쪽에서 파손되어 노출된 회흑색 연질토기 1점(장동호)과 물미(창을 바닥에 꽂을 수 있도록 자루 끝에 끼운 것)로 추정되는 철제품 1점을 수습하였다. 석축 및 상층부에 건물지가 있을 것으로 추정되며 헬기자의 축조로 유적이 상당 부분 훼손되었다. 1994년 구리문화원조사에서 처음 고구려보루로 확인되었고, 2000년 서울대박물관에서 조사하였고, 2003년 서울시 성곽조사 시에 측량조사를 실시하였다.
보루가 발굴될 때까지 유적이 훼손되지 않도록 작은 돌 하나도 함부로 옮기지 않는 성숙한 시민의식이 필요합니다.
(보수: 2011년 4월 16일)

출처: 안내팻말

용마산5보루

서쪽의 중랑천 일대를 한 눈에 볼 수 있는 용마산 능선에는 7개의 보루가 있다.
이곳 용마산5보루는 해발 316미터에 위치해 있고, 둘레 약 132미터, 내부면적 936평방미터 정도의 크기로 추정된다.
보루 북동쪽 비탈면에서 성벽으로 추정되는 석축 일부가 땅 표면 위로 드러나 있고, 보루 내 북쪽에서 고구려의 전형적인 토기 양식인 몸통긴항아리가 깨어진 채 발견되기도 했다.

출처: 안내팻말

아차산쪽 올라와본 건 처음인데 인상적이네요.

사적455호 용마산ㆍ아차산 보루들을 이어주는 보루 연결로(아차산장성)

사적455호 용마산ㆍ아차산 보루군은 고구려[용마산1,2,4,5보루/망우산1보루/아차산1,2,3,4,5보루/시루봉보루,홍련봉1,2보루]와 신라[용마산3,6,7보루] 유적으로 삼국(고구려ㆍ백제ㆍ신라)이 한강하류를 차지하기 위한 전략 요충지에 축성한 남한에 남아있는 최대의 고구려유적입니다.
아차산장성(아차산~용마산~망우산~배봉산)은 백제의 초기 도읍지(면목동 하북위례성실) 토성으로 추정하며, 고구려가 점령 후에는 보루를 이어주던 연결로로 사용되었고, 신라가 점령 후에는 이곳에 장한성을 쌓았으며, 조선시대에는 살곶이목마장의 담을 축성하였다. 아차산장성 길은 고운 흙을 다져서 만들어 1,500여년이 지난 지금도 등산로로 이용되고 있으며, 이곳의 작은 돌, 토기 한조각도 함부로 옮기시면 유적이 훼손되어 발굴이 어려워집니다. 고구려보루와 아차산장성을 잘 보존하고 사랑하는 것이 중국의 동북공정(고구려역사를 중국역사라 주장)을 통한 역사침략을 막아낼 수 있는 든든한 방패가 됩니다.

출처: 안내팻말

중랑둘레길의 네번째 스탬프함 발견!

서울둘레길과 겹치는 스탬프는 여기가 끝이에요!

반응형

아차산 처음 와보는데 전망 진짜 좋아요'ㅅ'

전망대도 많이 조성돼있고요.

아 7시라서...빨리 하산해야 하는데 송전탑 보이고 막........ㅠㅠ

내려가야 하는데 계단이 나오면 어쩌지........

올라가보면 좋겠는데..........

문화유산이라니까 보면 좋겠는데..........

어차피 비도 오고 시간이 너무 늦어서 다음에 기회되면 천천히 둘러보려고 보루까지 꼼꼼히 챙겨보진 않았어요.

아차산은 광진구와 구리시에 걸쳐있는 산이에요!

조금 더 걸어가니까 돌이 많이 보이더군요.

728x90

서울둘레길 표식은 보루쪽으로 직접적으로 안내하진 않아요.

아무래도 문화유산이다 보니 훼손될까 염려되는 건가 싶기도 했네요.

불암산전망대 쪽 길과 비슷한 느낌도 들지만 여기는 문화유산이니 조심스럽게 접근할 필요는 있을 것 같아요.

비가 와서 흐리다 보니 전망표시처럼 보이지 않아요.

구리둘레길 표지판에는 시가 써있더라고요.

정상 표지석 못 봤는데 아차산정상을 지나왔군요.

혹시 보루 위에 있었던 걸까요?

돌길이 나오는데 비가 와서 미끄러질까 봐 조심조심 내려왔어요.

아차산5보루

아차산6보루에서 남쪽으로 약 250미터 떨어진 작은 봉우리(해발 267.2미터)에 있다. 둘레 약 158미터, 내부면적은 약 1,818평방미터로 추정된다.
이곳에서는 한강 남쪽의 암사동에서 풍납토성, 몽촌토성 등 잠실까지 한 눈에 내려다 볼 수 있다.
정상부와 연결된 북쪽 비탈면에 석축 일부가 노출되어 훼손되고 있던 것을 흙을 덮어 보존하고 있다.
이곳 정상의 돌무더기는 비교적 최근에 쌓은 것으로서, 무너진 성돌을 주워 사용했을 것이다. 이곳에서 통일신라 시대의 토기조각이 여러 점 발견되어, 삼국시대 보루를 파괴하고 통일신라시대 고분이 만들어졌을 것이라고 추정하기도 한다.

출처: 안내팻말

아쉽지만 다음을 기약하며 내려갑니다'ㅅ'........

하남 쪽 전망도 감상할 수 있어요.

해맞이광장 도착!

아....공사로 우회로를 안내하는데 제가 못 찾아서......

그냥 길처럼 보이는 데로 막 내려가다 기원정사 쪽으로 하산했네요.

 

표식도 없고 둘레길이 아니다 보니 볼 것도 없기도 해서 사진 안 찍었고요.

또 8시가 다 돼가는 시간이다 보니 어두워질까 서둘러 하산했습니다.

아차산관리사무소에 스탬프가 있어서 그쪽으로 내려가야 하는데 많이 잘못 내려왔네요ㅋㅋㅋㅋㅋㅋㅋㅋ

기원정사인데요.

청계사는 누워계시는데 여기는 앉아계시네요.

기원정사가 지도에 없어서 편의상 해맞이광장에 F 표시해보았습니다!

728x90
반응형